Context of 알바니아

알바니아(알바니아어: Shqipëri/Shqipëria 슈치퍼리/슈치퍼리아)는 동남유럽 지역에 위치한 국가이다. 공식 국명은 알바니아 공화국(알바니아어: Republika e Shqipërisë 레푸블리카 에 슈치퍼리스)이다.

총면적 28,748km2로 2016년 기준 300만 명 가까이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티라나는 알바니아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수도이며, 두러스와 블로러 등의 대도시들이 알바니아에 위치하고 있다. 알바니아는 발칸반도에 위치하여, 북서쪽으로는 몬테네그로, 북동쪽으로는 코소보, 동쪽으로는 마케도니아 공화국, 남쪽과 남동쪽으로는 그리스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알바니아는 북쪽으로는 지중해, 서쪽으로는 아드리아해, 그리고 남서쪽으로는 이오니아해와 해안선을 맞대고 있다. 알바니아는 이탈리아와 오트란토 해협을 두고 72km도 되지 않는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다.

고전 고대 시대 동안, 현대의 알바니아 지역은 여러 일리리아 사람들과 그리스인들의 고향이 되어주었다. 일리리아 전쟁 이후에는 로마 제국에 병합되었고 로마의 행정구역 중 달마티아, 마케도니아, 그리고 모이시아 주의 일부분으로 쪼개졌다. 1190년, 사상 첫 알바니아인의 국가 알바논 공국이 세워졌다. 이후 15세기에 알바니아는 오스만 제국에 병합되고, 이후 500년 동안 제국의 식민지배 하에 있게 된다. 이후 유럽 지역에서 오스만 제국이 몰락하고, 발칸 전쟁이 발발하며 알바니아는 1912년 독립을 선언, 이듬해에 국제 사회로부터 독립국의 지위를 인정받는다. 알바니아 왕국은 1939년 이탈리아의 침략을 받고, 1943년에는 나치 독일의 보호령이 되었다. 이듬해, 알바니아는 엔베르 호자와 그가 이끄는 노...더 보기

알바니아(알바니아어: Shqipëri/Shqipëria 슈치퍼리/슈치퍼리아)는 동남유럽 지역에 위치한 국가이다. 공식 국명은 알바니아 공화국(알바니아어: Republika e Shqipërisë 레푸블리카 에 슈치퍼리스)이다.

총면적 28,748km2로 2016년 기준 300만 명 가까이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티라나는 알바니아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수도이며, 두러스와 블로러 등의 대도시들이 알바니아에 위치하고 있다. 알바니아는 발칸반도에 위치하여, 북서쪽으로는 몬테네그로, 북동쪽으로는 코소보, 동쪽으로는 마케도니아 공화국, 남쪽과 남동쪽으로는 그리스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알바니아는 북쪽으로는 지중해, 서쪽으로는 아드리아해, 그리고 남서쪽으로는 이오니아해와 해안선을 맞대고 있다. 알바니아는 이탈리아와 오트란토 해협을 두고 72km도 되지 않는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다.

고전 고대 시대 동안, 현대의 알바니아 지역은 여러 일리리아 사람들과 그리스인들의 고향이 되어주었다. 일리리아 전쟁 이후에는 로마 제국에 병합되었고 로마의 행정구역 중 달마티아, 마케도니아, 그리고 모이시아 주의 일부분으로 쪼개졌다. 1190년, 사상 첫 알바니아인의 국가 알바논 공국이 세워졌다. 이후 15세기에 알바니아는 오스만 제국에 병합되고, 이후 500년 동안 제국의 식민지배 하에 있게 된다. 이후 유럽 지역에서 오스만 제국이 몰락하고, 발칸 전쟁이 발발하며 알바니아는 1912년 독립을 선언, 이듬해에 국제 사회로부터 독립국의 지위를 인정받는다. 알바니아 왕국은 1939년 이탈리아의 침략을 받고, 1943년에는 나치 독일의 보호령이 되었다. 이듬해, 알바니아는 엔베르 호자와 그가 이끄는 노동당에 의해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알바니아는 공산주의 시기 동안 다양한 방면의 사회적, 정치적 변화를 겪었으며, 이 시기 동안 국제 사회로부터 고립을 감내해야 했다. 1991년, 사회주의 공화국이 해체되고 알바니아 공화국이 새로이 설립되었다.

알바니아는 민주주의 성격의 개발도상국으로, 세계 평균의 기준에서 중상 단계 정도의 소득 경제를 운용하고 있다. 서비스 부문이 알바니아 경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산업과 농업 부문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알바니아의 공산주의 체제의 해체 이후, 시장경제 차원의 경제 개혁이 알바니아 안에서 이루어지며 해외 투자의 문을 개방하였는데, 특히 에너지와 교통 인프라 부문에 많은 부분을 개방해놓았다. 알바니아는 높은 HDI 지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보편적인 의료 시스템과 무료 초중등교육을 알바니아 국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알바니아는 UN, NATO, WTO, 세계은행, 유럽 의회, OSCE, OIC의 회원국이며, 유럽 연합의 회원국 지위를 신청해놓은 상태이다. 알바니아는 에너지 공동체, 흑해 경제 협력 기구 그리고 지중해 연합의 창립국 중 하나이기도 한다. 알바니아는 남유럽 지역 최대 규모의 호수 그리고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호수들 중 하나를 보유하고 있다.

More about 알바니아

Basic information
  • Currency 알바니아 레크
  • Native name Shqipëria
  • Calling code +355
  • Internet domain .al
  • Mains voltage 220V/50Hz
  • Democracy index 6.11
Population, Area & Driving side
  • Population 2793592
  • 영역 28748
  • Driving side right
기록
  • 선사 시대  티라나 인근의 펠룸바스 동굴. 석기 시대에 사람이 거주하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알바니아에 인간이 처음 정착한 시기는 중석기 시대와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를 뒷받침할 사료가 사란더 근처의 사레라는 마을과 티라나 인근의 다이딧 산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1] 사레 근처의 한 동굴에서 부싯돌과 벽옥(碧玉) 그리고 동물의 뼈 등이 발견되었고, 다이딧 산에서는 뼈와 오리냐크 문화에 유사한 석기 도구들이 발견되었다. 알바니아에서 발굴된 석기시대의 유적들은 동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몬테네그로의 세르베나 스띠에아 유적과 그리스 북서부에서 발굴된 것과 유사한 형태를 띈다.[1]

    알바니아 중부와 남부 지방에서 발굴된 봉분 유적의 청동기 시대 유물들은 마케도니아 남서부와 그리스 레프카다의 유적의 것들과 유사하다. 고고학자들은 이를 보고 해당 지역들에는 기원전 3000년 정도에 고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인도-유럽 어족들이 정착하기 시작하였다고 결론지었다. 이들의 일부가 기원전 1600년 정도에 미케네로 이주하여 미케네 문명을 일구었다.[2][3][4] 또 다른 인구 집단이였던 일리리아인들은 당시에 그들의 영역으로선 가장 최남단 지역인 알바니아와 몬테네그로 국경 지역에 살면서 그리스 민족들과 이웃하고 있었다고 추정된다.[5][6]

    ...더 보기
    선사 시대  티라나 인근의 펠룸바스 동굴. 석기 시대에 사람이 거주하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알바니아에 인간이 처음 정착한 시기는 중석기 시대와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를 뒷받침할 사료가 사란더 근처의 사레라는 마을과 티라나 인근의 다이딧 산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1] 사레 근처의 한 동굴에서 부싯돌과 벽옥(碧玉) 그리고 동물의 뼈 등이 발견되었고, 다이딧 산에서는 뼈와 오리냐크 문화에 유사한 석기 도구들이 발견되었다. 알바니아에서 발굴된 석기시대의 유적들은 동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몬테네그로의 세르베나 스띠에아 유적과 그리스 북서부에서 발굴된 것과 유사한 형태를 띈다.[1]

    알바니아 중부와 남부 지방에서 발굴된 봉분 유적의 청동기 시대 유물들은 마케도니아 남서부와 그리스 레프카다의 유적의 것들과 유사하다. 고고학자들은 이를 보고 해당 지역들에는 기원전 3000년 정도에 고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인도-유럽 어족들이 정착하기 시작하였다고 결론지었다. 이들의 일부가 기원전 1600년 정도에 미케네로 이주하여 미케네 문명을 일구었다.[2][3][4] 또 다른 인구 집단이였던 일리리아인들은 당시에 그들의 영역으로선 가장 최남단 지역인 알바니아와 몬테네그로 국경 지역에 살면서 그리스 민족들과 이웃하고 있었다고 추정된다.[5][6]

    고대  아폴로니아의 경기 회장 기념물. (기원전 6세기)

    고대 당시 현대의 알바니아 지역에는 일리리아 사람들이 주로 거주하고 있었다. 그 사람들이 살고 있는 영역은 아드리아해 동부 지역과 아우레스강 어구까지 이르렀고, 이 지역 전체는 일리리아라고 불렸다.[7][8] 일리리아에 대한 기록은 기원전 4세기 중반 집필된 고대 그리스 문헌 흑해 주항기에 처음 등장한다.[9] 당시 남부 지역에는 그리스 카오니아인들[10] 이 포이니케를 수도로 두고 연안 지역에 기원전 7세기부터 아폴로니아, 에피담노스 그리고 아만티아 등의 다양한 정착지를 개척해나가고 있었다.

    알바니아 지역에서 가장 영향력 있었던 부족 중 하나는 아르디에이였다. 아르디에이 왕국은 피예브라투스 2세의 아들 그론의 지휘 아래 가장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론의 영향력은 이웃 부족에까지 미쳐졌다.[11] 기원전 230년 그론의 사망 이후, 그의 아내 테타가 왕국을 물려받아 다스렸다. 테타 휘하의 군대들은 남쪽으로 이오니아해까지 진출하였다.[12] 기원전 229년, 로마는 일리리아의 로마 선박들에 대한 약탈을 이유로 전쟁을 포고하였다.[13] 전쟁은 기원전 227년 일리리아의 패배로 종전되었다. 테타의 왕좌는 기원전 181년 겐티우스가 승계하였다.[14] 겐티우스는 기원전 168년 로마와 충돌하며, 제3차 일리리아 전쟁을 시작하였다. 전쟁은 기원전 167년 로마의 승리로 끝났고 그 시점부터 일리리아의 독립도 막을 내렸다. 전쟁 패배 이후, 로마는 일리리아를 세개의 행정구역으로 쪼개었다.[15]

    중세  크루여는 중세 시기 알바니아 지역의 주도 역할을 하였다.

    중세 동안, 알바니아는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 아래 있었으나 7세기부터 슬라브족들이 알바니아 지역 곳곳에 이주해오기 시작하였다.[16] 9세기에는 불가리아 제1제국의 침략을 받았다. 13세기에 비잔티움 제국과 불가리아 제2제국의 국력이 약해지자, 알바니아의 일부분이 세르비아 대공국의 침략을 받기도 하였다. 이 시기의 정복자들은 알바니아 내의 로마 혹은 비잔티움 문명의 흔적을 파괴하거나 약화시켰다.[17]

    알바니아의 독립은 중세 시기부터 아르바논 공국, 중세 알바니아 왕국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왔다. 아르바논 공국 혹은 알바논은 1190년 당시 크루여의 아르콘이였던 프로곤이 세운 중세 사상 첫 알바니아인의 독립국가였다. 프로곤이 맡았던 권좌는 그의 아들들인 지인과 드미트리가 승계하였다. 프로곤 일가의 마지막 후손이였던 드미트리의 사망 이후, 알바논 공국은 그리스인 그레고리 카모나스,[18][19] 크루여 공작,[20] 골렘 등의 인물들이 다스려 나갔다. 아르바논 공국은 1255년 해체되었다.[21][22][23] 아르바논 공국은 "알바니아인의 국가"의 기틀을 잡아주었으며, 제국 서쪽의 말단 지역의 이점을 활용하여 준자치 행정구역의 지위를 얻는데 기여하였다고 평가된다.[24]

    중세 알바니아 왕국은 카를로 1세에 의해 알바니아 지역에 설립되었다. 1271년 카를로 1세가 에페이로스 전제공국에서 정복한 지역이었다. 이듬해 1272년 2월, 그는 알바니아 왕국의 국왕으로 추임되었다. 왕국은 두러스부터 부트린트 해안까지 이르는 영토를 차지하고 있었다. 알바니아 왕국의 탄생 이후, 가톨릭 중심의 정치 구조가 세워지며 이를 기반으로 발칸 지역 내에 가톨릭교가 널리 퍼지게 되었다. 당시 정치적 개혁은 북부 알바니아를 다스리고 있었던 카를로 1세의 사촌 옐레나 안주이스카의 지지를 얻고 있었다. 그녀가 당시 북부 알바니아와 세르비아를 다스리고 있던 동안 해당 지역에 30개 이상의 가톨릭 교회와 예배당이 세워졌다.[25] 이후 1331년부터 1335년까지, 세르비아 제국이 알바니아를 지배하였다. 세르비아 제국의 분열 이후, 여러 알바니아 공국들이 분리되었고, 이들 중 발샤, 토피아, 카스트리오티, 무자카 그리고 아리아니티 공국이 비교적 강력하였다. 14세기 초반에는 오스만 제국이 알바니아 지역의 대부분을 정복하였다. 1444년에 알바니아 공국들은 스칸데르베그의 지휘 아래 단결하였다. 이후 스칸데르베그는 지금까지도 알바니아 중세의 국민 영웅으로 추대받고 있다.

    오스만 제국 시기
    스칸데르베그 

    스칸데르베그

    오스만 제국의 수립 초기, 당시 동남유럽 지역은 작은 공국들로 쪼개져 있었다. 오스만 군대들은 1415년에 남부 알바니아에 주둔지를 마련해놓았으며 1431년에는 알바니아의 대부분을 점령하였다.[26] 그러나 1443년 알바니아의 국민영웅인 스칸데르베그 주도의 장기 반란이 일어났다. 이 반란은 1479년까지 지속되며, 당시 술탄 무라트 2세와 메흐메트 2세가 이끌던 주요 오스만 군대들을 물리쳐냈다. 스칸데르베그는 알바니아 지역의 군주들을 통합하고, 대부분의 지역에 중앙 권력 체계를 도입해내며, 알바니아의 군주 자리에 오르기에 이르렀다. 그는 또한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범유럽 연합을 구성하려 시도하기도 하였다. 터키인들은 이탈리아와 서유럽 지역을 정복하기 위해 알바니아 지역을 발판으로 삼을 필요가 있었고, 이에 따라 여러번 재정복 시도를 하였으나, 매번 스칸데르베그에 위해 저지되었다. 당시 그와 오스만 제국과의 싸움은 유럽 지역에서 대단한 존경을 받고 있었으며, 이는 나폴리, 베네치아, 라구사 그리고 교황으로부터 재정적, 군사적 지원을 이끌어내기도 하였다.[27] 한편 오스만 제국이 알바니아에 진출하며, 이슬람교가 제3의 종교로 알바니아에 유입되었다. 이 시기동안 대규모의 알바니아인들이 기독교 유럽 국가들로 이주하였으며, 특히 이탈리아로의 이주가 다량으로 이루어졌다.[28] 한편 이슬람교로 개종한 알바니아인들은 보스니아인과 더불어 오스만 제국 내에서 높은 지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발칸 지역에 대한 정책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29]

    무슬림 알바니아인들은 제국 내에서 대재상을 포함한 여러 고위 행정직을 맡을 수 있었다. 당시 무슬림 알바니아인 중 대표적인 인물로는 오스만 제국-페르시아 전쟁을 지휘한 쾨프륄루 메흐메드 파샤 장군, 제4차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당시 오스만 군대를 이끌었던 쾨프륄자드 파질 아흐메드 파샤 장군, 그리고 당시 이집트 총독이였던 무함마드 알리 파샤 등이 있다.[30]

    15세기 동안, 오스만 제국은 알바니아에 강력한 행정권을 행사하고 있었고, 알바니아의 행정구역은 4개의 군(郡)으로 나뉘었다. 지역 정부는 스페인에서 박해를 피해 이주해온 유대인 정착지를 마련하며 무역을 촉진시키려 하였다 (당시 15세기 말). 당시 블로러는 부르사, 콘스탄티노폴리스, 그리고 여러 유럽 지역에서 벨벳, 면제품, 모헤어(앙고라 염소의 털. 그 털로 짠 천), 양탄자, 향신료, 그리고 가죽 등의 물품을 항구를 통해 들여오고 있었다. 당시 몇몇 블로러의 시민들은 유럽 지역 전체에 사업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도 있었다.[30]

    당시 알바니아인들은 오스만 제국 내 이라크, 이집트, 알제리, 그리고 마그레브 지역 안팎에서 주요 군직과 행정직을 도맡고 있었다.[23] 이는 오스만 제국의 데브쉬르메 제도의 영향이었다. 알바니아 지역의 이슬람화는 14세기 오스만 제국의 진출부터 점진적으로 진행해 오던 과정이였다 (오늘날, 다수의 알바니아인들이 이슬람교를 믿고 있으며, 오직 소수의 알바니아인들만이 로마 카톨릭교와 동방정교의 신앙을 갖고 있다). 한편 초기 오스만 제국의 동남유럽 진출 당시의 지역 영주들은 이슬람교를 꼭 믿어야만 했던 것은 아니였으며, 오히려 종종 반오스만 성향을 띠기도 하였는데, 이 중 대표적인 인물이 스칸데르베그였다 (그는 이후 19세기에 알바니아의 민족 주체성을 구성하는 주요 인물로 추앙된다). 알바니아인들에게 가장 영향력이 컸던 사회적 변화는 바로 점진적인 이슬람화였으나, 본격적으로 널리 퍼지게 된 것은 17세기부터였다.[29]

    17세기 당시에는 주로 로마 카톨릭 교도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하였으며, 동방정교 교도들은 18세기 정도에야 개종의 움직임이 일어났다. 당시 초기 엘바산과 슈코더르와 같은 주요 도시에만 머물러있던 교세도 교외 지역으로 확장되어 나갔다. 당시 대규모의 개종 움직임은 다양한 이유로 설명되며, 학계에서도 이를 증빙할 자료가 얼마 남아있지 않아 일축하기 힘들다.[29] 알바니아는 1912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루멜리아 주의 일부로 남아있었으며, 이후 알바니아의 독립이 점차 이루어졌다.

    알바니아 민족 계몽기  프리즈렌에 위치한 프리즈렌 동맹 건물의 전경.

    알바니아의 민족 부흥 (Rilindja Kombëtare)의 움직임은 1870년대부터 시작되어 1912년 알바니아의 독립 선포 직전까지 지속되었다. 프리즈렌 동맹 (알바니아 국가의 권리 수호를 위한 동맹) (Lidhja e Prizrenit)은 1878년 6월 코소보 빌라예트의 프리즈렌이라는 구시가에서 결성되었다. 설립 초반 오스만 관리들은 동맹이 무슬림 영주들과 오스만 제국 행정부에 연관된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지하여 지지하였다. 오스만 관리들은 이슬람의 연대를 지지, 보호하였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역을 포함하는 여러 이슬람 영향권 지역들의 수호를 촉구하였다. 이것이 동맹을 '진정한 무슬림의 위원회' (Komiteti i Myslimanëve të Vërtetë)라고 이름붙인 이유였다.[31] 프리즈렌 동맹은 일명 카라르나메라는 법령을 발표하였는데, 법령 내에는 북부 알바니아, 에페이로스 그리고 보스니아의 국민들은 오스만 제국의 '영토 보전'을 수호하기 위해 불가리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 그리고 몬테네그로 왕국에 대항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동원하겠다는 선언을 포함하고 있다. 이 법령은 1878년 6월 18일 47명의 무슬림 대표들이 조인한 것이다.[32] 300명 정도의 대표들이 당시 회의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에는 보스니아 지역과 프리즈렌 군에서 중앙 정부의 대표로 참여한 이들도 포함되어 있었다.[33]

     1845년 출판된 나움 베키냐르치의 알파벳 (Alfabeti i Vithkuqit).

    압둘 프라셔리의 새로운 지도 아래, 프리즈렌 동맹은 알바니아 지역의 자치와 코소보, 스쿠타리, 마나스티르 그리고 야니아의 네 곳의 주를 알바니아 주 하나로의 통합을 요구하기 시작하였고, 당시 오스만 제국은 프리즈렌 동맹의 지지를 철회하였다. 프리즈렌 동맹은 베를린 회의에 의해 몬테네그로에 할당되었던 플라브, 구시네 등의 지역이 합병되려는 시도를 군대를 동원하여 막아내었다. 프리즈렌 동맹의 군대는 노브시스에서 몬테네그로 군대와의 전투에서 여러 차례 승리하였으나, 강대국의 압력에 따라, 프리즈렌 동맹은 플라브, 구시네에서 군대를 철수시켰으며, 이후 술탄이 보내온 오스만 군대에 의해 패배하였다.[34] 이후 1912년 알바니아인들이 다시 봉기하였고, 오스만 제국은 발칸 전쟁에서 패배하고, 잇따라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그리고 그리스 군대들이 알바니아를 향해 진군하였다. 그리고 1912년 11월 28일, 이스마일 체말리가 블로러 남부에서 알바니아의 독립을 선포하였다.

    독립  1913년에서 1914년까지 존재하였던 알바니아 독립국가에 제안된 분계선.

    1912년 11월 28일 남부 블로러에서 열린 알바니아 만민 회의에서 블로러 의회가 결성되었다.[35][36] 의회에 모인 83명의 지도자들은 알바니아를 독립 국가로 선포하고 임시 정부를 구성하였다. 임시 정부는 1912년 12월 4일 열린 의회의 두번째 회의에서 설립되었다. 임시정부는 이스마엘 체말리가 이끄는 10명의 지도자들로 구성되어, 1914년 1월 22일 그의 사임까지 지속되었다.[37] 또한 의회는 18명을 뽑아 상원 (Pleqësi)을 구성하게 하여 정부의 자문 역할을 하게 하였다.[38]

    1913년 7월 29일 런던 회의에서 알바니아의 독립이 인정되었다. 당시 새롭게 세워진 알바니아 공국의 분계선은 당시의 인구 통계학적 현실을 무시하고 있었다. 1913년 10월 15일 국제 통제 위원회가 설립되어 알바니아의 정치제도가 자리잡기 전까지 알바니아의 국가행정을 담당하였다.[39] 국제 통제 위원회는 블로러에 본부를 두었다.[40] 국제 헌병대가 알바니아 공국의 첫 법집행기관으로 설립되었다. 11월에는 첫 헌병대원들이 알바니아에 도착하였다. 알바니아의 군주였던 빌헬름 비디 (Princ Vilhelm Vidi)가 공국의 첫 군주로 선택되었다.[41] 3월 7일, 빌헬름 비디는 당시 임시 수도였던 두러스에 도착하여 정부를 구성하기 시작하였고, 투판 페르메티를 임명하여 첫 알바니아 내각을 구성하라 지시하였다.

     1912년 8월 오스만 군대를 몰아내고 알바니아 혁명가들이 수복한 스코페의 모습.

    1913년 11월, 알바니아의 친-오스만 제국 세력들은 알바니아 출신의 오스만 제국의 전쟁장관이였던 이제트 파샤에게 알바니아의 군주 자리를 제안하였다.[42] 당시 친-오스만 성향의 알바니아 국민들은 새로운 알바니아 공국의 출범은 그저 6개의 기독교 국가들과 국가 대부분의 농경지를 차지있고 있었던 지주들의 꼭두가시라 여겼다.[40]

    1914년 2월, 지로카스터르에 거주하던 그리스인들은 북이피로스 자치 공화국의 설립을 선포하며 알바니아와의 통합을 거부하였다. 이 정부는 오래 가지 않아 이후 1921년, 남부 지역들은 알바니아 공국에 통합되었다.[43][44] 한편, 새로운 알바니아 정부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던 알바니아 농민들이 봉기를 일으키며, 당시 알바니아와 이슬람의 구원자라 자칭하던 에사드 파샤 톱타니와 이슬람 성직자들을 중심으로 반란을 확산시켜나갔다.[45][46] 군주 비디는 알바니아 북부 미르디터현의 카톨릭 신자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당시 그들의 지도자였던 프렝크 비베 도다를 알바니아 공국의 외무장관으로 임명하였다. 1914년 5월과 6월, 이사 볼레티니와 코소보에서 온 그의 수하들이 국제 헌병대에 동참하였으나, 이들은 1914년 8월 중부 알바니아 대부분을 정복하고 있었던 반군에 패배당하였다.[42] 군주 비디의 정부는 몰락하였고 그는 1914년 9월 3일 알바니아를 떠났다.[47]

    공화국과 왕정 시기  1938년 조구 1세와 당시 제랄딘 백작과의 결혼식.

    잠깐 존재하였던 알바니아 공국 (1914-1925)는 알바니아 공화국 (1925-1928)로 대체되었다. 1925년 4명의 섭정체제가 끝나고 조구 1세가 새롭게 설립된 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티라나가 알바니아의 영구적인 수도로 공식 인준되었다.[46] 조구는 권위주의적이며 보수적인 정권을 이끌었고, 그 목적은 국가 안정과 질서 확립에 있었다. 조구는 강제적으로 이탈리아에 협력하는 정책을 채택해야 하였다. 1925년 1월 20일 알바니아와 이탈리아 양국간 교역 거래에서 독점권을 얻는 조약이 맺어졌다.[46]

    1928년 알바니아 공화국은 군주제로 다시 대체되었다. 조구는 국가 전체에 대한 자신의 직권을 확대하기 위해 도로 건설에 많은 집중을 쏟았다. 당시 16세를 넘은 모든 알바니아 남성은 국가에 매년 10시간의 노동 시간을 바쳐야 할 의무가 부여되었다.[46] 국왕이 된 조구는 보수적인 성향을 유지하였으나, 여러 개혁을 실행하기도 하였다. 그 일례로, 사회의 현대화를 위해 자신의 이름에 출신 지역의 이름이 들어가는 전통을 폐지하였다. 또한 조구는 국제 기구에 토지를 기부하여 학교와 병원을 짓게 하였다. 당시 군대는 이탈리아 장교들에 의해 훈련되었다. 조구는 균형을 위해 이탈리아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국가 헌병대에 영국 사무관들을 계속 유지하였다. 알바니아 왕정은 당시 파시스트 이탈리아 정부의 지지를 받고 있었으며 두 국가는 1939년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침공 직전까지 가까운 외교관계를 유지하였다. 알바니아는 이탈리아 왕국에 점령되었으며 이후 제2차 세계대전에는 나치 독일에 점령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1944년 11월 29일 티라나에서 행진하는 알바니아 게릴라군의 모습.

    이탈리아에 의해 군사적 점령 상태가 된 이후, 알바니아 왕국은 1939년부터 1943년까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이끄는 이탈리아의 보호국이자 속령이었다. 1941년 4월 추축국의 유고슬라비아 점령 이후, 현재 코소보의 대부분, 서부 마케도니아 지역, 중부 세르비아의 투틴, 동부 몬테네그로의 일부분을 포함한 유고슬라비아 지역은 지역 내 상당한 알바니아인 인구가 있었다는 이유로 알바니아에 합병되었다.[48] 1941년 11월, 소규모의 알바니아 공산주의자 모임 구성원들은 티라나에서 130명을 모아 알바니아 공산주의 정당을 창당, 엔베르 호자를 지도자로 하고 11명으로 구성된 중앙 위원회까지 설립하였다. 공산당은 초기에 약간의 대중성을 겸비하여, 청년 위원회에서 새로운 당원을 받기도 하였었다.

    1943년 이탈리아의 항복 이후, 나치 독일이 알바니아를 점령하였다. 당시 이탈리아에 적대적이였던 민족주의 단체 발리 콤페타르는 티라나에 "중립" 정부를 출범, 독일군과 함께 공산주의 성향의 국가해방운동 단체를 배척하였다.[49] 알바니아는 당시 유럽에서 가장 황폐화된 국가들 중 하나였다. 60,000가구 이상의 주택이 파괴되고 전체 인구의 10%가 노숙자로 전락하였다. 공산 게릴라군은 재결성되어 1944년 1월에는 남부 알바니아의 대부분을 통제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독일군의 공격대상이 되어 일정 지역에서 철수해야 하였다. 국가해방전선은 펄멧 회의에서 국가 해방 반-파시스트 위원회를 구성하여 알바니아의 행정 및 입법기관으로 역할하도록 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말기의 알바니아는 공산주의자들과 민족주의자들이 서로 갈등하는 내전상태에 이르렀다. 그러나 1944년 늦여름 즈음에는 공산 게릴라군이 남부 알바니아에서 발리 콤페타르 군대를 몰아내었다. 11월이 끝나기 전, 독일 군대는 티라나에서 철수하였고, 공산 게릴라군이 바로 티라나를 공격하여 점령하였다. 게릴라군은 1944년 11월 29일을 기점으로 알바니아 전체 지역을 독일의 지배에서 해방시켰다. 공산주의자들은 10월 베라트에서 임시정부를 구성, 엔베르 호자를 총리로 임명하며 알바니아를 통치하기 시작하였다.

    공산 정부  마오쩌둥과 엔베르 호자의 모습. 두 국가 정상은 1956년 엔베르 호자의 방중, 그리고 1957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공산당 회의에서 두번 만났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공산당이 알바니아의 주요 군사 및 정치 세력으로 떠오른 후 북부 알바니아로 군대를 보내 남아있던 민족주의자 세력을 제거하려 하였다. 공산당 군대는 그 중 니카이-메르투르, 두카진 산악 지대, 그리고 켈멘디 지역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프레 사히가 이끄는 게릴라군의 거센 저항에 맞닥뜨려야 했다.[50] 1945년 1월 15일, 타마라 교량에서 공산당 제1여단 소속 군사들과 민족주의 세력과 충돌이 벌어졌고, 민족주의 세력의 패배로 마무리되었다. 약 150명의 켈멘디 사람들이 살해당하거나 고문당하였다.[51] 이 사건은 엔베르 호자의 독재 정권에서 벌어지는 여러 문제의 시작점으로 여겨진다. 당시 계급투쟁이 급격히 일어나며, 자유와 인권은 철처히 무시당하였다.[52] 켈멘디 지역은 이후 20년 동안 국경으로부터 고립, 도로 부족 등의 문제로 완전히 고립되었고, 농업협동조합의 시행 이후 경제 또한 쇠퇴하였다. 많은 켈멘디 사람들은 지역을 떠났고, 몇몇은 국경을 넘으려다 사형에 처해졌다.[52]

    나치 독일의 지배에서 해방된 이후, 알바니아는 공산주의 국가가 되었다. 곧바로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이 세워졌고, 엔베르 호자와 알바니아 노동당이 국가를 이끌었다.[53] 왕정은 빠르게 해체되고 인민공화국이 세워지며 알바니아의 사회주의 건설이 곧바로 실행에 옮겨졌다. 1947년, 알바니아의 첫 철도가 완성되고, 곧바로 몇개월 후 두번째 철도 노선이 완공되었다. 새로운 토지 개혁법이 제정되어 토지의 소유권을 실제 땅을 경작했던 농민들과 노동자에게 할당하였다. 농업은 노동자 협동조합의 형태로 운영되었고, 농업 생산량도 상당히 증가하여, 당시 알바니아는 농업적으로 자급자족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1955년에는, 알바니아 성인 인구에서 문맹이 없어졌다.[54]

     발보네 협곡을 바라보고 있는 옛 공산당 벙커. 1983년에 약 173,271개의 콘크리트 벙커들이 해체되었다.[55]

    당시 이 시기 동안, 알바니아는 산업화의 과정을 겪고 급격한 경제성장을 보였고, 국가 전체에서 전례 없는 교육과 의료 보급에서 진전을 보였다.[52] 당시 알바니아의 평균 연례 국가 총소득 증가율은 세계 평균보다 29% 높았고 유럽 평균보다 56% 높았다.[56] 알바니아는 대규모의 부채를 지고 있었는데, 1948년에 유고슬라비아와, 1961년까지 소련과, 그리고 1950년대 중반부터 중화인민공화국와 채무관계를 맺고 있었다.[57] 당시 공산주의 헌법은 개인에게 세금을 부과하지 않았으나, 협동 조합이나 단체에 세금을 부과하며, 비슷한 징수효과를 볼 수 있었다.[58] 공산주의 정권 시기동안 종교의 자유는 엄격히 축소되었고, 모든 형태의 숭배는 불법으로 규정되었다. 1945년 8월, 농업개혁법이 제정되며 종교단체 (대부분 이슬람 와크프) 소유의 많은 재산들이 국유화되며, 수도원과 교구 토지들도 모두 몰수당하였다. 울라마와 사제들을 포함한 많은 성직자들이 체포되거나 사형당하였다. 1949년, 종교 단체에 대한 법령이 발표되어 모든 종교활동은 중앙정부에 의해 제재를 받게 되었다.[59]

    몇백개의 모스크와 수십개의 이슬람 서재들이 파괴되며, 그 안에 소장되어 있던 귀중 문서들도 소각되었다. 이후 1967년 엔베르 호자는 알바니아를 "세계 최초 무신론 국가"라 선포하였다.[60][61] 교회 건물들은 전부 해체되지 않고, 청년들을 위한 문화 센터로 변모하였다. 1967년 법률에서는 모든 "파시스트, 종교, 전쟁주의, 반공산주의 활동과 프로파간다"를 금지하였다. 설교 행위는 3년에서 10년 사이의 징역에 처해질 수 있는 범법 행위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비밀리에 종교활동을 계속하고 있었다. 호자 독재정권의 반종교 정책은 10여년 뒤에 가장 극단적인 형태를 띠어갔다: "국가는 어떠한 종교도 인정하지 않는다"라고 알바니아의 1976년 헌법에서 기술되어 있으며, "인민의 과학적인 물질 세계관 확립을 위해 무신론을 적극 지지한다."라고 하였다.[61] 엔베르 호자의 정치 후계자였던 라미즈 알리아는 1980년대 후반 동구권의 몰락 시기 동안 "호자주의" 정권의 분열을 감독하였다.

    공산주의 붕괴 이후  1988년, 티라나 중심부에 위치한 스칸데르베그 광장이 처음으로 외부인에게 개방되었다.

    1989년부터 시위가 일어나면서, 1990년에는 공산 정부가 자체적으로 개혁을 도입하더니, 1992년에는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이 해체, 그리고 현재의 알바니아가 세워졌다. 공산주의자들은 1991년 총선에서 계속하여 지지를 받으며 국회 내 다수석을 확보하였다. 1992년 3월, 새롭게 펼쳐진 자유화 정책이 경제 붕괴와 사회 불안정 상태로 이어지자, 당시 새롭게 창당된 알바니아 민주당이 권력을 잡았다. 이후 여러 해 동안, 알바니아 내에 축적된 대부분의 부는 당시 정부가 지지하고 있었던 피라미드 형태의 폰지 사기에 투자되었다. 이 제도는 당시 알바니아 인구의 1/6에서 크게는 1/3까지 확대되었다.[62][63] 1996년 말에 국제 통화 기금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당시 알바니아 대통령 살리 베리샤은 당시 은행 제도를 거대 투자회사로 옹호, 더 많은 국민들을 집과 가축을 팔게 하여 은행 계획에 저축하도록 하였다.[64] 은행 계획은 1996년 말에 붕괴하기 시작하여, 많은 투자자들이 투자금 환수를 위해 평화시위를 전개하게 하였다. 시위는 1997년 2월 정부군이 발포로 대응하며 폭력적으로 변질되었다. 당해 3월, 경찰과 수비대원들이 무기고를 개방해 둔 채 철수하였다. 무기고는 금세 시민군과 범죄 단체들의 차지가 되었다. 당시 일어난 국가 위기는 외국 국민들과 피난민들이 알바니아를 떠나게 하였다.[65] 당시 알렉산더 멕시 총리는 국가 위기로 1997년 3월 11일 사임하고, 6월에 열린 보통 선거 이후 7월에는 당시 살리 베리샤 대통령이 사임하였다. 1997년 4월, 이탈리아가 이끄는 UN 평화유지군이 국외 거주자의 안전한 대피와 국제 기구의 기반 유지를 이유로 알바 작전을 실행, 알바니아에 진입하였다. 작전 당시에는 서유럽 연합 국가들이 주도하여 알바니아 정부와 함께 사법제도와 알바니아 경찰을 재정비하였다. 알바니아 사회당이 알바니아 1997년 총선거에서 승리하였고, 알바니아에 정치적 안정 상태를 몰고 왔다. 1999년, 알바니아는 코소보 전쟁의 영향을 받아, 당시 많은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이 알바니아로 피난해왔다.

    오늘날  알바니아는 2010년 브뤼셀에서 열린 NATO 본부 정상회의에 참가하였다.

    1989년 혁명 이후, 알바니아는 서유럽 국가들과 가까운 외교관계를 맺어나가기 시작하였다. 2008년 부쿠레슈티 정상 회담에서 알바니아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로부터 가입을 초대받았다. 2014년 4월 알바니아는 NATO의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 알바니아는 동남유럽 국가들 중 평화 프로그램에 파트너쉽을 체결한 첫 국가들 중 하나였다. 알바니아는 유럽 연합에 가입을 신청하였고, 2014년 6월에는 유럽 연합의 회원이 되기 위한 정식 후보 국가가 되었다.

    알바니아는 2014년 유럽 연합 회원권을 얻기 위한 후보국의 지위에 있으며 (2009년 가입 신청 기준), 유럽 연합은 두번 알바니아의 정회원국 가입 신청을 거절한 바 있다.[66] 2017년 초 유럽 의회는 알바니아 정부 지도자들에게 2017년 열리는 총선거는 자유롭고 공평한 환경에서 진행되어야 알바니아의 유럽 연합 가입을 긍정적으로 고려하겠다고 하였다.[67]

    ↑ 가 나 Boederman, John (1997).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24963.  Crossland, R. A.; Birchall, Ann (1973). 《Bronze Age migrations in the Aegean; archaeological and linguistic problems in Greek prehistory: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lloquium on Aegean Prehistory, Sheffield》 (영어). Duckworth. ISBN 9780715605806.  Hammond, Nicholas Geoffrey Lemprière; Griffith, Guy Thompson; Walbank, Frank William (1972). 《A History of Macedonia: Historical geography and prehistory》 (영어). Clarendon Press.  Hammond, Nicholas Geoffrey Lemprière (2001). 《Collected Studies: Further studies on various topics》 (영어). Hakkert.  Boederman, John (1997).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24963.  Wilkes, John (1996년 1월 9일). 《The Illyrians》 (영어). Wiley. ISBN 9780631198079.  “isbn:9780631198079 - Google 검색”. 2017년 5월 25일에 확인함.  Boardman, John; Hammond, N. G. L. (1982년 8월 5일).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34474.  John Wilkes (1996). 《The Illyrians (The Peoples of Europe)》. 94쪽.  《Hammond 1998; Lewis & Boardman 1994, pp. 430, 434; Boardman & Hammond 1982, p. 284; Wilkes 1995, p. 104; Encyclopædia Britannica ("Epirus") 2013》.  Hammond, Nicholas Geoffrey Lemprière; Walbank, Frank William (1972). 《A History of Macedonia: 336-167 B.C》 (영어). Clarendon Press. ISBN 9780198148159.  Jackson-Laufer, Guida Myrl (1999). 《Women Rulers Throughout the Ages: An Illustrated Guide》 (영어). ABC-CLIO. ISBN 9781576070918.  Arnold, Thomas (1846). 《The History of Rome》 (영어). D. Appleton & Company.  Wilkes, John (1996년 1월 9일). 《The Illyrians》 (영어). Wiley. ISBN 9780631198079.  《Marjeta Šašel Kos, "The Illyrian King Ballaeus – Some Historical Aspects", Épire, Illyrie, Macédoine: Mélanges offerts au professeur Pierre Cabanes, ed. Danièle Berranger (Clermont-Ferrand: Presses Universitaires Blaise Pascal, 2007), 127.》.  Bideleux, Robert; Jeffries, Ian (2007년 1월 24일). 《The Balkans: A Post-Communist History》 (영어). Routledge. ISBN 9781134583287.  “Albania - THE BARBARIAN INVASIONS AND THE MIDDLE AGES”. 2017년 5월 26일에 확인함.  Jireček, Konstantin; Šufflay, Milan von; Ippen, Theodor Anton; Sedlmayr, Ernst C.; Ivanic̆, Josef; Karácson, Imre; Péch, Béla; Thopia, Karl (1916). 《Illyrisch-albanische Forschungen》 (독일어). Duncker & Humblot.  Abulafia, David; McKitterick, Rosamond (1995).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ume 5, C.1198-c.1300》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362894.  《The Genealogist》 (영어). The Association. 1980.  Clements, John (1992), Clements encyclopedia of world governments, Vol. 10. Political Research, Inc. p. 31: "By 1190, Byzantium's power had so receded that the archon Progon succeeded in establishing the first Albanian state of the Middle Ages, a principality" Pickard, Rob (2017년 5월 26일). 《Analysis and Reform of Cultural Heritage Policies in South-East Europe》 (영어). Council of Europe. ISBN 9789287162656.  ↑ 가 나 Norris, H. T. (1993). 《Islam in the Balkans: Religion and Society Between Europe and the Arab World》 (영어). Univ of South Carolina Press. ISBN 9780872499775.  Pipa, Arshi; Repishti, Sami (1984). Studies on Kosova. East European Monographs #155. pp. 7–8. ISBN 0-88033-047-3. Etleva, Lala (2008). Regnum Albaniae, the Papal Curia, and the Western Visions of a Borderline Nobility (PDF). Cambridge University Press. “Licursi Senior Thesis | Ottoman Empire | Nationalism” (영어). 2017년 5월 27일에 확인함.  “Albania | history - geography”. 《Encyclopedia Britannica》 (영어). 2017년 5월 27일에 확인함.  Gjonça, Arjan (2001). 《Communism, Health and Lifestyle: The Paradox of Mortality Transition in Albania, 1950-1990》 (영어).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9780313315862.  ↑ 가 나 다 Nathalie, Clayer,. “Albania” (영어).  ↑ 가 나 S.E., Mann,; Halil, İnalcık,. “Arnawutluḳ” (영어).  Trencsényi, Balázs; Kope[Ux010d]ek, Michal (2006). 《Late Enlightenment: Emergence of modern national ides》 (영어).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ISBN 9789637326523.  “WebCite query result” (영어). 2011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7일에 확인함.  Trencsényi, Balázs; Kope[Ux010d]ek, Michal (2006). 《Late Enlightenment: Emergence of modern national ides》 (영어).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ISBN 9789637326523.  “Albanian League | Balkan history”. 《Encyclopedia Britannica》 (영어). 2017년 5월 27일에 확인함.  “1920 | Ismail Kemal bey Vlora: Memoirs”. 2010년 6월 17일. 2010년 6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8일에 확인함.  “1920 | Ismail Kemal bey Vlora: Memoirs”. 2010년 6월 17일. 2010년 6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8일에 확인함.  Giaro, Tomasz (2007). 《Modernisierung durch Transfer zwischen den Weltkriegen》 (독일어). Klostermann. ISBN 9783465040170.  Giaro, Tomasz (2007). 《Modernisierung durch Transfer zwischen den Weltkriegen》 (독일어). Klostermann. ISBN 9783465040170.  “WebCite query result” (영어). 2011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Jelavich, Barbara (1983년 7월 29일). 《History of the Balkans:》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74593.  《The War and Democracy》. 2012년 1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가 나 “WebCite query result” (영어). 2013년 8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8일에 확인함.  Bowden, William (2003). 《Epirus Vetus: the archaeology of a late antique province》 (영어). Duckworth. ISBN 9780715631164.  Ference, Gregory C. (1994). 《Chronology of Twentieth Century Eastern European History》 (영어). Gale Research, Incorporated. ISBN 9780810388796.  “WebCite query result” (영어). 2011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Vickers, Miranda (1999). 《The Albanians: A Modern History》 (영어). I.B.Tauris. ISBN 9781860645419.  Springer, Elisabeth; Leopold Kammerhofer (1993). Archiv und Forschung. Oldenbourg Wissenschaftsverlag. p. 346. ISBN 3-486-55989-3. Bogdani, Mirela; Loughlin, John (2007년 3월 15일). 《Albania and the European Union: The Tumultuous Journey Towards Integration and Accession》 (영어). I.B.Tauris. ISBN 9781845113087.  Morrock, Richard (2010년 9월 13일). 《The Psychology of Genocide and Violent Oppression: A Study of Mass Cruelty from Nazi Germany to Rwanda》 (영어). McFarland. ISBN 9780786456284.  Jacques, Edwin E. (1995). 《The Albanians: An Ethnic History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Present》 (영어). McFarland. ISBN 9780899509327.  Pllumi, Zef (2008). 《Live to Tell: A True Story of Religious Persecution in Communist Albania》 (영어). iUniverse. ISBN 9780595452989.  ↑ 가 나 다 “Albania - Albanian nationalism | history - geography”. 《Encyclopedia Britannica》 (영어). 2017년 5월 29일에 확인함.  “Enver Hoxha | prime minister of Albania”. 《Encyclopedia Britannica》 (영어). 2017년 5월 29일에 확인함.  40 Years of Socialist Albania, Dhimiter Picani “Shqiptarja.com - Ekskluzive/Hapet dosja, ja harta e bunkereve e tuneleve sekrete”. 《Shqiptarja.com》 (영어). 2017년 9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9일에 확인함.  Dimitris, Dalakoglou,. “‘The Road from Capitalism to Capitalism’: Infrastructures of (Post)Socialism in Albania”. 《Mobilities》 (영어) 7. ISSN 1745-0101.  Prybyla, Jan S. (1969). 《Comparative Economic Systems》 (영어). Ardent Media. ISBN 9780390719003.  “Panorama of the Economic-Social Development of Socialist Albania”. 2017년 5월 29일에 확인함.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Albania: Hoxha's Antireligious Campaign Kombësia dhe feja në Shqipëri, 1920–1944 / Roberto Morocco dela Roka ; e përktheu nga origjinali Luan Omari. ↑ 가 나 Elsie, Robert (2010). Historical Dictionary of Albania. Historical Dictionaries of Europe, No. 75 (2nd ed.). Lanham, MD, and Plymouth: The Scarecrow Press. p. 27. ISBN 978-0-8108-6188-6. “Finance and Development” (영어). 2017년 5월 29일에 확인함.  Bezemer, Dirk (2001). "Post-socialist Financial Fragility: The Case of Albania".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25: 1–25. doi:10.1093/cje/25.1.1. hdl:10419/85494 . JSTOR 23599718. Musaraj, Smoki (2011). "Tales from Albarado: The Materiality of Pyramid Schemes in Post-socialist Albania". Cultural Anthropology. 26 (1): 84–110. doi:10.1111/j.1548-1360.2010.01081.x. The mass emigration of Albanians was mostly to Italy, Greece, Switzerland, Germany and North America. “Albania country profile”. 《BBC News》 (영어). 2016년 12월 15일. 2017년 5월 29일에 확인함.  Culbertson, Alix (2017년 2월 1일). “Albania and Bosnia fail to impress at EU membership meeting over democratic value concerns”. 《Express.co.uk》 (영어). 2017년 5월 29일에 확인함. 
    Read less

Phrasebook

안녕하십니까
Përshëndetje
세계
Botë
안녕하세요 세계
Përshendetje Botë
고맙습니다
Faleminderit
안녕
Mirupafshim
po
아니
Nr
잘 지내고 있나요?
Si jeni?
좋아, 고마워
Mire faleminderit
얼마예요?
Sa kushton?
Zero
하나
Një

Where can you sleep near 알바니아 ?

Booking.com
489.783 visits in total, 9.196 Points of interest, 404 목적지, 34 visits today.